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에볼라 바이러스 원인, 증상, 치료법!

by 행복한아부지 2014. 7. 31.

 

 에볼라 바이러스 원인, 증상, 치료법!

 

 

 

서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에볼라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WHO에서도 긴장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에볼라 바이러스가 검색어에 올라왓길래 구글 검색을 해서 관련 영상을 보니..

 

너무 끔직하고 무서운 질병이더군요!!

 

 

 

 

 

 

 에볼라 바이러스란??

 

 

에볼라 바이러스는 괴질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최초 196년 독일의 미생물학자 마르부르크 박사가

 

콩고의 에볼라강에서 발견하여 에볼라 바이러스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치사율이 90%에 달해 죽음의 바이러스라고도 불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잠복기를 거쳐 즈앙이 나타난 후 1주일정도만 지나도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하네요.ㅜㅜ

 

 

 

 

 

 

 에볼라 바이러스 어떻게 전염 되는가??

 

 

에볼라 바이러스는 주로 과일 박쥐의 몸속에 살고 있어 열대 우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감염되기 쉽다고 하네요.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침팬지, 고릴라, 과일박지 등의 동물이 내는 땀, 혈액, 분비물, 장기나 그 밖의 체액에

 

접촉하게 되어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이후에는  직접 접촉 또는 오염된 환경, 물건등을 통한 간접 접촉에 의해서도

 

널리 감염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를 전파 감염시키는 동물들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네요.

 

원숭이가 에이즈를 전파시키지만 원숭이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것 처럼 말입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잠복기에는 감염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감염자가 증상을 보이기 시작할 때 신체 접촉을 할 시 감염이 된다고 하네요.

 

따라서 환자와 접촉이 많은 의료진이 감염될 확률 또한 높다고 하는데,

 

현재 서아프리카에서 전파되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환자중 의료진이 100여명이고

 

이중 사망자가 50여명에 이른다고 하니 치료를 위해 노력하는 이들의 위험감수 부담도 무척이나 클거 같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확산에 큰 우려를 갖는 것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가

 

비행기를 이용해 이동할 경우 그 전파력은 걷잡을 수 없고

 

이에 대한 특별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확산이 커질경우 이를 막을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서아프리카의 라이베리아 정부는 지난 27일, 2개의 공항과 3개 검문소를 제외한 국경을 폐쇄하였고,

 

공공집회 또한 금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니와 인접한 세네갈 역시 국경을 폐쇄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어떻게 전염이 되나??

 

 

 

에볼라 바이러스는 대기중 공기로 인해 전염은 되지 않습니다.

 

다만,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 사망자의 피와 땀 그밖의 분비물과, 오염된 물건으로 인해 전염이 된다고 합니다.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의 감염 확산이 빠르고 높은 이유 또한

 

서아프리카에서는 장례식에서 고인의 시체를 만지는 풍습이 있다고 합니다.

 

이 떄문에 환자 사우에도 접촉에 의해 감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감염자가 회복된 후 수 주후까지 감염자의 정액에 에볼라 바이러스가 남아 있어

 

성관계로도 전파가 가능합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약 1주일간의 잠복기를 지나

 

이후 오한, 두통, 근육 관절통과 체온이 급격히 증가한다고 해요.

 

발병 3일정도 경과하면 위장과 소장등의 기능장애로 식욕감퇴, 멀미, 구토, 설사 증상이 나타나고

 

이후 발병 4 ~ 5일 내로 심한 혼수상태에 빠져 위독한 상태까지 이르게 됩니다.

 

특히 호흡기나 위장관에서 심한 출혈이 나타나며 보통 발명 후 8 ~ 9일째 대부분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하네요.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 방법은??

 

 

 

현재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는 전혀 개발되지 않았으며,

 

최대한 감염 전파를 막는 것만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현재 치료는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한 증상에 대한 치료법이 전부라고 합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우리와 먼 나라의 이야기라서 조금은 덜 위험할 수 있겠다 하지만

 

요즘은 세계가 하나라는 말처럼 이동 공간이 넓다보니 아주 안심할 일은 아닌듯 합니다.

 

하루빨리 에볼라 바이러스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 되었으면 하는 바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