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원정보/생활민원

국민건강보험료 계산방법!!

by 행복한아부지 2014. 8. 1.

 

국민건강 보험료 계산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료를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하여 부과하고 있으며 정확한 산정기준에

 

의거해 국민건강보험료를 계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이러한 국민건강보험료 계산법에 따라

 

내 건강보험료가 어느정도가 적정한 금액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 방법

 

 

 

2014년 직장인 건강보험료가 0.1% 인상되어 5.99%의 보험요율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 보수월액의 2.995%를 내가 부담하고 사업자가 2.995%를 부담하기 때문에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은 간단합니다.

 

 

※보수월액은 보수를 포함한 나머지 소득액을 12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 직장인 보수월액보험료 = 보수월X보험료율(5.99%)÷2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방법

 

 

2014년 지역가입자 부과점수당 금액도 172.7원(2013년)에서 175.6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지역가입자 부과점수 산정요소는 소득, 재산(부동산, 자동차, 전월세 등), 세대원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부과점수가

 

산정되어 세대별로 보험료가 부가되며, 연소득 500만원을 기준으로 부과점수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연소득 500만원 이하 세대 : 보험료부과점수(생활수준 및 경제활동참가율 + 재산 + 자동차) X175.6원

 

-연소득 500만원 초과 세대 : 보험료부과점수(소득+재산+자동차)X175.6원

 

 

 

 

 

 부과요소별 등급표

 

 

 

 

 

 

 생활수준 및 경제활동 차마율 구간별 점수

 

 

 

 

 ◎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6.55%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국민건강보험이 일반적인 질병과 상해로 인한 병의원 치료비와 약국의 약제비 등의

 

급여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치매/중풍, 노화 및 노인성질환으로 인해 혼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시설이나 재가 장기요양기관을 통해 신체 활동 및 가사 활동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마련하는 제도입니다.

 

 

 

2014년 국민건강보험료가 인상된 배경은 치매특별등급

 

신설, 희귀난치성 등 심장질환 MRI검사 보험적용과 의료수가가

 

전반적으로 2.1% 인상됨에 따라서 증가한 금액입니다.

 

기타 궁금한 내용은 국민건강보험 폼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